
🌾 2025년 식량 위기 시대, 농업 ETF는 투자 대안일까?
목차 |
---|
1. 2025년 식량 위기와 농업 투자 환경 |
2. 농업 ETF란? 장점과 리스크 |
3. 2025년 주목할 농업 ETF TOP 5 |
4. 투자 전략 및 FAQ |
🌍 2025년 식량 위기와 농업 투자 환경
2025년 현재, 전 세계 2억 9,500만 명이 극심한 식량 불안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는 6년 연속 증가세로, 기후 변화, 분쟁, 공급망 붕괴, 경제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유엔은 2050년까지 인구가 10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에 따라 식량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식량 위기는 투자자들에게 농업 및 식량 관련 자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WFP(세계식량계획)은 2025년 긴급 식량 지원 예산만 57억 달러가 부족하다고 밝혔습니다.
연도 | 극심한 식량불안 인구 | 주요 요인 |
---|---|---|
2023 | 2억 8,900만 명 | 기후, 분쟁, 경제위기 |
2024 | 2억 9,500만 명 | 기후, 분쟁, 공급망 붕괴 |
2025 | 2억 9,500만 명+ | 기후, 분쟁, 경제불안, 원조 감소 |

📊 농업 ETF란? 장점과 리스크
농업 ETF는 농산물(곡물, 축산, 설탕 등)이나 농업 관련 기업(종자, 농기계, 비료, 식품 가공 등)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직접 농지나 원자재를 소유하지 않고도 농업 산업 전반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다양한 농업 자산에 분산 투자로 리스크 완화
-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식량 가격 상승 시 수익 기대)
- 글로벌 식량 수요 증가에 따른 성장성
- 높은 유동성, 저비용 (주식처럼 매매 가능)
- 일부 ETF는 배당 수익 제공
- 기후·자연재해 등 예측불가 리스크
- 상품 가격 변동성, 환율, 무역정책 등 대외 변수
- 일부 ETF는 파생상품(선물) 운용으로 복잡한 구조
- 농업 기업 실적 및 산업 구조 변화에 영향
Tip! ETF 선택 시, 투자 대상(원자재/기업), 수수료, 배당, ESG(지속가능성) 기준, 유동성 등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2025년 주목할 농업 ETF TOP 5
2025년 현재, 농업 ETF는 식량 위기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ETF와 수익률, 특징을 정리한 표입니다.
ETF명 | 2025년 수익률 | 운용자산(AUM) | 주요 투자대상 | 특징 |
---|---|---|---|---|
Invesco DB Agriculture Fund (DBA) | 2024년 +21% 2025년 상반기 +7~9% 추정 |
$780M | 곡물 선물(옥수수, 밀, 콩, 설탕 등) | 인플레이션 헤지, 고유동성, 4.5% 배당 |
VanEck Agribusiness ETF (MOO) | 2025년 상반기 +5~7% 추정 | $1.95B | 농업기업(Deere, ADM, Corteva 등) | 글로벌 대형주, 0.52% 저렴한 수수료 |
iShares MSCI Agriculture Producers ETF (VEGI) | 2025년 상반기 +4~6% 추정 | $149M | 농업기업(종자, 비료, 기계) | 2.7% 배당, ESG 노출 |
Teucrium Wheat Fund (WEAT) | 2025년 상반기 +6% 내외 | $490M | 밀 선물 | 곡물 집중, 변동성 높음 |
Farmland Partners Inc (FPI) | 2025년 상반기 +8~10% 추정 | $900M | 미국 농지 REIT | 평균 연수익 9.8%, 3.4% 배당 |
참고: DBA는 2024년 +21%로 S&P500(+6%) 대비 월등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FPI 등 농지 REIT는 2017~2022년 연평균 11%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 투자 전략 및 FAQ
A1. 식량 위기, 인플레이션, 글로벌 수요 증가 등으로 농업 ETF는 여전히 매력적인 대안입니다. 다만, 단기 변동성에 유의하세요.
A2. 투자 대상(원자재/기업), 수수료, 배당, ESG, 유동성, 운용규모 등을 비교하세요. DBA, MOO, VEGI, FPI 등이 대표적입니다.
A3. 기후, 지정학, 환율 등 대외 변수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해 분산 투자와 적정 비중(포트폴리오 5~10%)을 권장합니다.
Tip! 장기적으로는 농업 ETF가 인플레이션 헤지, 글로벌 성장 수혜, ESG 트렌드까지 모두 잡을 수 있는 전략적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메타버스, 2025년 투자자가 알아야 할 성장 기업 3곳 (29) | 2025.07.03 |
---|---|
🌎 글로벌 ETF, 미국·신흥국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실전 데이터로 비교! (23) | 2025.07.03 |
🪙 비트코인, 2025년 전문가 전망 분석! (43) | 2025.07.01 |
💰 고금리 예금, 2025년 은행별 최고 금리 상품 TOP 5 비교 (57) | 2025.07.01 |
🌱 ESG 투자, 1년 만에 2배 수익 낸 실제 포트폴리오 공개 (74) | 2025.06.30 |